세대주, 세대원의 의미와 변경 신청 방법, 분리 조건까지 총 정리!
안녕하세요.청약이나 연말정산에서 보면 종종 등장하는 단어가 세대주, 세대원입니다.오늘의 꿀팁은 그래서 세대주, 세대원이 무엇인지 세대주 변경 방법, 분리 조건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세대주 / 세대원 뜻세대주란 가구구성원의 대표자로서 주거를 같이 하는 사람들을 대표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꼭 자가가 아니더라도, 전/월세에 살더라도 세대주가 될 수 있습니다.세대주가 되면 주택 청약을 넣을 수 있는 기회가 더 있고, 연말정산 시 주택대출 상환에 대한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그렇기에 청약, 연말정산에서 세대주가 맞는지를 꼭 구분하고 있습니다.세대원은 그러면 해당 가구 구성원이겠죠?보통 4인 가구를 예로 들면, 부모님 중 한 분이 세대주로 되어있고, 이 외 다른 구성원은 세대원으로서 구분..
2024. 8. 1.
가족 간 대출시 차용증 작성법과 효력을 갖추는 방법(공증,내용증명,확정일자)
가족 간 거래시 궁금한 것들은 아래 버튼을 클릭해주시면 됩니다. 가족 간 금전거래시 참고사항가족 간 대출 시에는 잘못하면 증여세를 맞을 수 있기에 차용증과 차용증의 효력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합니다. 대표적으로 공증을 받는 것이죠. 또한, 가족 간 대출이더라도 무이자는 안 되고, 적정 이자를 이체한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.그래서 오늘은 차용증을 작성하는 방법, 적정 이자 및 공증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1. 차용증(금전소비대차계약서) 작성법 우선, 차용증을 작성하는데 정해진 서식은 없습니다. 서로 합의된 내용을 종이에 써서 서명날인을 하고 한 부씩 나눠서 가지면 되는 것이죠. 다만, 반드시 들어가야할 내용이 있는데, 빌린 금액, 대출 만기일, 이자 지급일은 정확하게 작성을 해야 합니다. 얼마를..
2024. 7. 21.
가족 간 계좌이체 / 금전거래 시 용돈, 증여세, 대출 기준!
살다보면 가족 간에 계좌이체 할 일이 정말 많죠? 예를 들어 용돈을 받거나 할 때도 계좌이체를 통해 받고, 돈을 빌리는 경우에도 계좌 이체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. 이렇게 자주 사용하지만, 증여로 추정이 될 수 도 있어서 세금 폭탄을 맞을수도 있습니다. 그래서 오늘은 가족 간 계좌이체, 금전거래 시에 주의사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1. 용돈 과세 / 비과세 기준가장 먼저 계좌이체로 용돈을 입금하는 경우입니다. 용돈은 과세일까요? 비과세일까요? 우선, 증여세법의 내용을 봐야하는데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이재구호금품, 치료비, 피부양자의 생활비, 교육비,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은 비과세 대상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. 고로, 용돈을 3~50만원을 받는다고 하면, 사회통념상 인정되는 금..
2024. 7. 15.
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 대상 및 가입조건, 혜택, 신청방법 정리!
국민내일배움카드라고 들어보셨을까요?청년내일채움공제는 많이 들어봤을텐데, 그것과 비슷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그래서 오늘은 국민내일배움카드 발급 대상 및 조건, 혜택 및 사용방법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.국민내일배움카드란?기술발전에 적응하고 변화하는 노동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국민 스스로 직업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교육비나 훈련비를 지원해주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적성과 직업 선택을 지원해 줄 뿐 아니라,일자리 정보, 맞춤형 취업 지원과 같이 취업에 도움이 되는 것도 있고,고령자, 여성, 장애인과 같은 취약계층에도 지원을 해주는 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.발급 대상 및 가입 조건발급 조건은 꽤 간단합니다.국민 누구나 신청이 가능합니다.단, 아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원 제외 대상입니다. -...
2024. 7. 12.